전체 글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오답노트SQLD (자격증)/문제풀이 2020. 4. 12. 17:43
2번. 다음 설명 중 데이터 모델링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업무정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정보들에 대해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한다. 2. 분석된 모델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개발 및 데이터관리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용도를 위해 데이터모델링을 수행하고 업무에 대한 설명은 별도의 표기법을 이용한다. 4. 데이터모델링 자체로서 업무의 흐름을 설명하고 분석하는 부분에 의미를 가지고 있다. ※ 해설 데이터 모델링을 하는 주요한 이유는 업무정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정보들에 대해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함으로써 정보시스템 구축의 대상이 되는 업무 내용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첫번째 목적이다. 두번째는 분석된 모델을 가지고 실제 데이터..
-
SQL 기본 및 활용3(JOIN)SQLD (자격증)/2-2. SQL 활용 2020. 4. 12. 16:05
조인 (JOIN) - FROM절에 여러 테이블이 나열되더라도 SQL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는 단 두개의 집합 간에만 JOIN이 일어난다. -> FROM절에 A, B, C테이블이 나열되었더라도 특정 2개의 테이블만 먼저 조인 처리되고, 2개의 테이블이 조인되서 처리된 새로운 데이터 집합과 남은 테이블이 다음 차례로 조인됨 * 테이블의 조인 순서는 옵티마이저에 의해서 결정된다. - 조인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출력하는 INNER JOIN에 참여하는 대상 테이블이 N개라고 했을 때 N개의 테이블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필요한 JOIN조건은 대상 테이블의 개수에서 한개를 뺀 N-1이상이 필요하다.
-
SQL 기본 (ORDER BY절)카테고리 없음 2020. 4. 9. 20:26
ORDER BY절 - 조회된 데이터를 특정 칼럼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 - ORDER BY절에 Column명 대신 SELECT절에서 사용한 ALIAS명이나 칼럼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도 사용 가능 SYNTAX SELECT 칼럼명 [ALIAS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GROUP BY 칼럼이나 표현식] [HAVING 그룹조건식] [ORDER BY 칼럼이나 표현식 [ASC OR DESC]]; - 날짜형 데이터 타입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 날짜 값이 가장 빠른 값이 먼저 출력 * ORACLE은 NULL값을 가장 큰 수로 간주하여 오름차순의 경우 가장 마지막에 출력 * SQL Server는 NULL을 가장 작은 수로 간주하여 오름차순의 경우 가장 처음에 출력 좋은 예 1. SELECT 문..
-
HTTP 요청 메소드 (GET메소드 / POST메소드 )카테고리 없음 2020. 4. 6. 21:01
* HTTP 요청 메소드는 요청 자원에 대해 웹 서버에게 내리는 명령 메소드 종류 (GET, POST, HEAD, PUT, DELETE, TRACE, CONNECT, OPTIONS) GET 메소드 GET요청의 특징 1.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데이터 조회에 적합하다. 2. 바이너리 및 대용량 전송이 불가하다. 3. 요청 라인과 요청 헤더에 최대 크기 제한이 있다. * 대용량 URL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웹 서버에 따라 최대 크기를 제한한다. GET 요청의 종류 1.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는 경우 -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여 서버의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 GET요청이 발생한다. - 주소창에 daum.net을 입력하면 요청 라인은 'GET http://www.daum..
-
UX(User Experience)란?back-end 2020. 4. 6. 20:06
UX(User Experience)란? -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느낌, 태도, 행동" - 특정 정황과 목표를 갖는, 정보기기 / 서비스 사용자의 "느낌, 태도, 행동" -> 경험을 설계한다는 말은 사용자의 "느낌, 태도, 행동"을 설계한다는 말 ==> UX란 제품, 시스템,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인간이 얻게 되는 지각과 반응의 합이다. UI와 UX의 차이점 - UI에서 U가 보편적 인간을 모델로 한 분석 대상이였다면, UX에서 U는 주관적 인간을 모델로 한 공감대상 -> 즉, UX는 특정 사용자를 모델로 공감한다. - UX의 핵심은 총체적 관점(Holistic)이기 때문에 넓게 보아야 하는데 이 때, 무엇을 넓게 보고 통합할 것이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가지 관점이 존재한다. 1. 작용 대상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