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pring Sockets카테고리 없음 2020. 8. 22. 14:55
1.WebSocket - Socket Over HTTP - IE10+ (Can use pure WebSocket javascript library) 2. SockJS - Like socket.io -> node.js - sockjs-clinet library -> spring 웹소켓은 아니지만 웹소켓과 유사 3. STOMP(Streaming Text oriented Messageing Protocol) - 토픽 구독방식 - 약속된 방식으로 통신 - Spring Only, Publish(topic/queue) & Subscribe - Sub Protocol Over Sockjs -> Custom Format for Message - Use stomp js library
-
Spring - Asynchronous request processing (비동기 요청 처리)최종프로젝트 관련 정리 2020. 8. 22. 10:45
Spring - Asynchronous request processing (비동기 요청 처리) 1. pom.xml javax.servlet javax.servlet-api 3.0.1 provided 2. web.xml ... 3. web.xml 내의 servlet설정에 async-supported 태그 값을 true로 설정한다.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1 true 종류 1.Callable 요청을 처리하는 Servlet쓰레드가 반환되면 Spring MVC에서 제어하는 쓰레드에 의해 비동기처리된다. C..
-
-
maven Dependency 목록카테고리 없음 2020. 8. 20. 19:20
Dependency 목록 Spring-webmvc : Spring mvc 프로젝트를 하기위해선 추가해야할 기본적인 dependency이다. spring-tx : spring transaction을 사용하기위한 dependency이다. spring-orm : jpa를 사용하고자 할때 추가해야하는 dependency이다. hibernate-core : jpa를 사용하고 hibernate를 사용하고자 할때 추가하는 dependency이다. hibernate-c3p0 : db connection pool로 c3p0를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dependency이다. c3p0 : dpcp 라이브러리인 c3p0 dependency이다. hibernare-validator : entity에서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을 ..
-
STS 3버전 4로 마이그레이션최종프로젝트 관련 정리 2020. 8. 19. 20:55
sts 3 버전 -> 4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기본 환경 - Spring Framework 3.1.1 - java version 1.6 - Maven compiler source 1.6 target 1.6 - servlet-api 2.5 - jsp-api 2.1 변경 될 환경 - Spring Framework 4.3.4 - java version 1.8 - Maven compiler source 1.8 target 1.8 - servlet-api 3.0 - jsp-api 2.2 설정 변경 pom.xml 수정 1. java version 1.6 -> 1.8 / springfamework version 3.1.1 -> 4.3.4 1.8 4.3.4.RELEASE 1.6.10 1.6.6 2. Servlet ..
-
웹 소켓(WebSocket)카테고리 없음 2020. 8. 19. 20:49
웹소켓 서버와 클라언트간의 효율적인 양방향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 간단한 API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웹 소켓을 이용하면 하나의 HTTP 접속으로 양방향 메세지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다. XMLHttpRequest와 Server-Sent Event를 조합해서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경우와 비교해 통신 효율이 좋고, 설계나 구현도 간단해진다. - - - * XMLHttpRequest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방향으로 비동기 통신은 XHR(XMLHttpRequest)의 등장으로 실현됐다. 그 이전부터 iframe이나 img등을 써서 억지로 비동기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은 있었지만 XMLHttpRequest가 쓰이면서 비동기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생 but XHR은 크로스 오리진 통신이 불가능 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