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자격증)/통합 구현
통합 구현 - 연계 데이터 구성
행복하게사는게꿈
2020. 10. 3. 13:05
연계 요구사항 분석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
-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
구분 | 주요 내용 | 설명 |
분석 기법 | 인터뷰 | 사용자 면담을 통해 연계 요구사항 도출 |
체크리스트 |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주기 등의 기준에 대한 점검을 통한 분석기법 | |
설문지 | 서비스 활용 목적에 따라 연계 필요 데이터 식별 및 연계 주기 등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 | |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기법 업무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 |
|
브레인스토밍 |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 | |
분석 참고 문서 | 코드 정의서 | 공통 코드 정의서 |
테이블 정의서 |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테이블/프로세스 연관도, 테이블별 컬럼 속성 정의서 | |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 애플리케이션의 메뉴구성, 화면설계, 데이터 발생 시점, 주기, 발생 패턴 등 확인 | |
시스템 구성도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연계 대상 시스템 구성도 |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
개체(Entity) 정의서
-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
테이블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
-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널 여부, 키 여부, 디폴트 값 등을 의미
인터페이스 명세서
- 인터페이스 명세서는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 목록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
주요 항목 | 설명 |
인터페이스 ID |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 |
최대 처리 횟수 |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
데이터 크기 (평균/최대) |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 |
시스템 정보 (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 시스템명, 업무 명, 서비스명/프로그램ID, 연계방식, 담당자/연락처 |
데이터 정보 (송수신 시스템 각 각 작성) |
- 번호, 필드 , 식별자,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 허용 여부, 항목 설명, 조건, 매핑 규칙, 총길이, 추출 조건/sql |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구분 | 절차 | 내용 |
1 | 시스템 현황 확인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
2 | 정의서 확인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데이터 관련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확인 |
3 | 체크리스트 작성 | 질의 사항을 시스템(네트워크, 보안 등) 관점과 응용(데이터, 공통 코드 등) 관점에서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 작성 |
4 | 인터뷰 및 면담 |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수행하고 회의록 작성 |
5 |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 연계 시스템 구성 및 데이터 식별에 해당하는 내용에 요구사항 ID를 부여하고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
연계 시스템의 구성
- 연계 시스템은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계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를 둘 수 있다.
구성 | 내용 |
송신 시스템 | - 연계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
중계 서버 |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이 가능 |